Adventure Time - Jake 'Net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Network2

[TCP/IP 통신 실습] 수동 ip 설정 - 자동 ip 할당 문제 | 타pc에서 접속 불가 | 방화벽 설정 1. 들어가며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운영하다 보면 종종 이런 상황을 만난다.PING은 잘 되는데 접속이 안 된다.서버는 열려 있다는데, 클라이언트가 붙지를 않는다.연결은 된 것 같은데 데이터가 오가지 않는다.로컬에서는 되는데, 외부에서는 접속이 안된다.이 글에서는 통신/네트워크 백엔드 관점에서 Client–Server 연결의 본질,그리고 이를 확인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2. Client와 Server의 역할- TCP/IP 통신에서 중요한 건 “누가 문을 열고 기다리는가(Server)” 와 “누가 먼저 찾아가는가(Client)”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Server특정 IP:Port를 열고 LISTEN 상태로 대기예: 192.168.0.10:4000ClientServer의 IP:Port로 접속 .. 2025. 9. 4.
서버(Server)와 클라이언트(Client) | 소켓통신과 HTTP 통신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무엇일까? 간단히 말해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응답(Response)과 요청(Request) 이다.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버는 이에 응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를 요청하는 주체에 따라 그 녀석이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이다.   1. 소켓 통신 통신 방식에는 TCP/UD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소켓통신이 있다.이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Port를 통해 통신을 하는 것이다. TCP 소켓통신은 port를 통해 계속해서 연결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양방향 실시간 채팅의 경우 TCP방식의 소켓통신이나 웹소켓으로구현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해야하는 경우 http 통신이라면 계속해서 연결을 시도해야하기 때문에 부하가.. 2024. 11. 7.